상세 컨텐츠

본문 제목

정상파에 대해

과학

by Simple Runner 2021. 6. 10. 14:13

본문

정상파.md

Updated at 2021.5.5

Standing Waves

파동을 수학적으로 표현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 보았으니, 이제 실제 문제에 적용하여 생각해 보자. 끈의 길이가 LL 로 유한하고, 양 끝이 고정되어 있는 파동인 정상파에 대해 알아보자.

미분 방정식의 해

1차원 파동에 대해 생각해 보자. 풀어야 할 미분 방정식은

2ut2=v22ux2\begin{align}\frac{\partial^2 u}{\partial t^2} = v^2 \frac{\partial^2 u}{\partial x^2}\end{align}

이고, 만족시켜야 할 조건은 u=0 at x=0 and Lu=0 \text{ at } x= 0 \text{ and } L 이다. 변수 분리법을 이용하여 해를 u(x,t)=X(x)T(t)u(x,t) = X(x)T(t) 같이 가정하고 위의 미분 방정식에 대입해 정리하면

1Td2Tdt2=v2Xd2Xdx2\begin{align}\frac{1}{T}\frac{d^2 T}{dt^2} = \frac{v^2}{X} \frac{d^2 X}{dx^2}\end{align}

위의 좌변은 변수 tt 만의 함수이고 우변은 xx 만의 함수이므로 위의 수식을 만족하려면 양변 모두 상수일 수 밖에 없다. 따라서 그 값을 ω2-\omega^2 이라고 하자.

1Td2Tdt2=ω2\begin{align}\frac{1}{T}\frac{d^2 T}{dt^2} = -\omega^2\end{align}

v2Xd2Xdx2=ω2\begin{align}\frac{v^2}{X} \frac{d^2 X}{dx^2} = -\omega^2\end{align}

위 두 수식의 해는 각각 다음과 같다. 지수함수의 확장 참고

Te±iωt\begin{align}T \sim e^{\pm i\omega t}\end{align}

Xe±iωx/v\begin{align}X \sim e^{\pm i\omega x/v}\end{align}

따라서 해는

u=X(x)T(t)Ae±iωte±iωx/v\begin{align}u = X(x)T(t) \sim Ae^{\pm i\omega t}e^{\pm i\omega x/v}\end{align}

이고, 여기서 AA 는 임의의 상수(복소수)이다.

xx 에 대한 경계 조건을 만족하는 식을 찾기 위해 xx 만의 수식을 뽑아보자.

e±iωx/v=cos(ωx/v)±isin(ωx/v)\begin{align}e^{\pm i\omega x/v} = \cos (\omega x/v) \pm i\sin (\omega x/v)\end{align}

  1. x=0x=0 일때 u=0u=0 이므로, cos\cos 항은 없어야 한다.
  2. x=Lx=L 일때 u=0u=0 이므로, ωL/v=nπ\omega L/v = n\pi 여야 한다. (여기서 n=1,2,3,n=1,2,3,\cdots)

따라서 최종 정리하면 해는 무한개로 많고 그 중 nn 차 파동은 다음과 같다.

un=(Ansinωnt+Bncosωnt)sinnπxL\begin{align}\red{u_n = (A_n \sin \omega_n t + B_n \cos \omega_n t)\sin \frac{n\pi x}{L}}\end{align}

여기서 ωn=nπv/L\omega_n =n\pi v/L 이고 An,BnA_n, B_n 은 상수 이다.

정상파 고찰

위의 수식을 자세히 살펴 보면, 시간에 상관 없이 위치에 대해서는 항상 같은 형태(sinnπxL\sin \frac{n\pi x}{L})를 띈다. 파장(λ\lambda) 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.

nπL=2πλ\begin{align}\frac{n\pi}{L} = \frac{2\pi}{\lambda}\end{align}

파장에 대한 수식으로 정리하면, 길이가 LL 인 끈의 정상파에서 파장(λ\lambda) 은 nn 이 증가함에 따라 반비례하여 감소함을 알 수 있다.

λ=2Ln\begin{align}\lambda = \frac{2L}{n}\end{align}

정상파의 개수

길이가 LL 인 끈에서 파장이 λ\lambdaλ+dλ\lambda + d\lambda 사이인 정상파는 몇 개나 있을까?

  • LλL \sim \lambda 이면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다. 예를 들어 길이가 1m1m 이 끈에서는 λ=0.5,0.25,0.125,\lambda = 0.5, 0.25, 0.125, \cdots 에서만 1개씩 존재한다. 그 이외의 파장은 존재할 수 없다.
  • 하지만 LλL \gg \lambda 이면 파장이 λ\lambdaλ+dλ\lambda + d\lambda 인 정상파가 많이 존재 할 수 있다. 따라서 nnλ\lambda 에 대한 아래와 같은 연속함수로 생각할 수 있다.

n(λ)=2Lλ\begin{align}n(\lambda) = \frac{2L}{\lambda}\end{align}

위 수식을 미분 해서 파장이 λ\lambdaλ+dλ\lambda + d\lambda 사이인 정상파 개수를 구할 수 있다. 마이너스는 파장이 증가함에 따라 개수가 줄어 든다는 뜻이다.

dn=2Lλ2dλ\begin{align}\red{dn = -\frac{2L}{\lambda^2}d\lambda}\end{align}

3차원으로 확장

위의 수식을 3차원(x,y,zx, y, z) 평면파의 경우로 확장해 보자. 풀어야 할 미분 방정식은

1v22ut2=2ux2+2uy2+2uz2\begin{align}\frac{1}{v^2}\frac{\partial^2 u}{\partial t^2} = \frac{\partial^2 u}{\partial x^2} + \frac{\partial^2 u}{\partial y^2} + \frac{\partial^2 u}{\partial z^2}\end{align}

미분 방정식의 해를 간단히 쓰면 다음과 같다.

un=Cne±iωntsinnxπxLsinnyπyLsinnzπzL\begin{align}u_n = C_n e^{\pm i\omega_n t}\sin \frac{n_x\pi x}{L}\sin \frac{n_y\pi y}{L}\sin \frac{n_z\pi z}{L}\end{align}

여기서

ωn=nπvL=πvLnx2+ny2+nz2\begin{align}\omega_n = \frac{n\pi v}{L} =\frac{\pi v}{L}\sqrt{n_x^2 +n_y^2+n_z^2}\end{align}

정상파의 개수

LλL \gg \lambda 인 상황에서 무작위 방향의 3차원 정상파인 경우의 파장이 λ\lambdaλ+dλ\lambda + d\lambda 인 파동의 개수는 얼마일까? 다음과 같이 개념적으로 유도해 보자. (엄밀한 증명은 아님)

  • 특정 방향(rr)을 정하면 그 방향에서 1차원의 수식(13)과 같은 dnr=2Lλ2dλdn_r = -\frac{2L}{\lambda^2}d\lambda 일 것이다.
  • 식(16)처럼 nn 은 3차원으로 n=nxi+nyj+nzk\vec n = n_x \vec i + n_y\vec j + n_z \vec k 와 같이 생각할 수 있다.
  • 따라서 3차원 무작위 방향을 생각하면 공간상에 정상파가 균일하게 분포하기 때문에 dn=πnr2dnrdn = \pi n_r^2 dn_r 로 생각할 수 있다. (지름이 nrn_r 인 구)

dn=πnr2dnr=π(2Lλ)2×(2Lλ2dλ)\begin{align}dn = \pi n_r^2 dn_r = \pi (\frac{2L}{\lambda})^2 \times (-\frac{2L}{\lambda^2}d\lambda)\end{align}

정리하면,

dn=8πL3λ4dλ=8πVλ4dλ\begin{align}dn = -\frac{8\pi L^3}{\lambda^4}d\lambda = -\frac{8\pi V}{\lambda^4}d\lambda\end{align}

위의 수식에서 L3=VL^3 = V 으로 부피이다. 파장(λ\lambda)을 진동수(ν\nu)로 바꾸고 단위 부피 당 정상파의 개수로 식을 변환하면, 즉 정상파의 밀도는

dnV=8πνv3dν\begin{align}\red{\frac{dn}{V} = \frac{8\pi \nu}{v^3} d\nu}\end{align}

위의 수식에서 vv 는 파의 진행 속도이다.

'과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플랑크와 흑체 복사에 대해  (0) 2021.06.10
빛이란 무엇인가?  (1) 2021.06.10
파동에 대해  (0) 2021.06.10
단순 조화 진동에 대해  (0) 2021.06.10
기체 분자 운동 에너지에 대해  (0) 2021.06.10

관련글 더보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