Updated at 2021.5.4
Kinetic Molecular Theory
개별 분자 운동(m,v)과 거시적인 성질(p,V,T)을 연결하는 이론으로 다음과 같은 가정에 기반한다.
- 기체 입자(분자) 자체의 부피는 입자들간의 거리에 비해 작아 무시할 수 있다.
- 기체 입자들은 끊임없이 무질서하게 움직인다. 즉 x,y,z 방향에 무관하다.
- 기체 입자들은 충돌할 때를 제외하고는 그들 사이에 아무런 힘이 작용하지 않는다.
- 입자와 벽면과의 충돌은 완전 탄성 충돌이다. 즉, 충돌에 의해 에너지가 손실 되지 않는다.
기체 입자 1 개의 운동
위의 두번째 가정에 의해 x,y,z 방향에 대해 동일하므로, x 방향의 속력과 x 방향에 수평인 벽면만 생각하여 계산해 보자.
벽과의 충격 전후의 운동량의 변화(m 은 질량, vx 는 x 방향 속도)은 아래와 같다.
Δpx=mvx−(−mvx)=2mvx
입자 하나가 한번 충돌하는 데 걸리는 시간(L 은 x 방향 벽면 사이의 거리)은
Δt=2L/vx
이므로 단위 시간 당 벽에 전달하는 운동량
즉 힘
은 최종적으로 아래와 같음을 알 수 있다.
Fx=ΔtΔpx=2L/vx2mvx=Lmvx2
벽면에 전달되는 압력
한쪽 벽면의 면적을 A=L2 라고 하고, 전체 입자의 개수를 N 이라고 하면,
P=AFx=L2∑i=1Nmvx,i2/L=L3mi=1∑Nvx,i2=L3mNvx2
이고, 위의 식에서 vx2 는 N 개 입자의 x 방향 속도의 제곱의 평균이다. 따라서 입자의 속력은 다음의 관계가 성립한다.
v=vx2+vy2+vz2
평균 속력의 경우 세 방향 성분이 같으므로 아래와 같은 식을 얻을 수 있다.
v2=3vx2
따라서 압력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.
P=3L3mNv2
위의 수식을 분자 개별에 대한 변수를 기체 입자 집합, 즉 몰
(mole)관련 변수로 변환하자
- 1몰의 기체는
아보가드로 수
(NA) 만큼의 기체가 있으므로, N 개의 기체는 n=N/NA 몰이다.
- 1몰의 기체의 질량을 M (
몰질량
, molar mass g/mol)이라고 하면 m=M/NA 이고,
- L3=V (
부피
) 이므로
위의 수식은 최종적으로 다음과 같다.
PV=31nMv2
기체 평균 속력
이상 기체
의 압력과 부피에 대한 이상기체 방정식은 아래와 같다.
PV=nRT
따라서 위의 두 식을 결합하고 평균 속도에 대해 정리하면
이므로 위의 식과 결합하면,
v2=M3RT
이고, 최종적으로 vrms (root-mean square speed
, 근평균 제곱 속력)은 아래과 같다.
vrms=v2=M3RT
위의 수식은 분자의 속력을 거시 상태 지표, 즉 온도로 나타낸 매우 중요한 공식이다. 위의 수식을 기체 1개의 질량(m)에 대한 수식으로 변경하며,
vrms=mNA3RT=m3kT
위의 수식에서 k=R/NA 로 볼쯔만 상수
라고 부른다.(기체상수와 아보가드로 수의 비)
기체 평균 운동 에너지
기체 입자 1개의 평균 속력을 구했으므로 운동 에너지(Ek)를 구해 보자.
Ek=21mvrms2
위의 두 식을 결합하면 최종 수식을 구할 수 있다.
Ek=23kT
입자의 운동에너지는 온도만의 함수라는 매우 획기적인 수식이다. 기체에 따라 움직임이 빠른 것과 느린 것들이 다양하게 있을 수 있으나, 평균적인 움직임은 온도에만 관련이 있다는 것이다.
자유도
위의 수식은 기체 입자가 x,y,z 세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3 개의 자유도
를 가진 상황에서 유도가 되었다.
이 자유도를 x 방향으로만 제한하면 v2=vx2 이므로 x 방향 운동에너지는 아래와 같음을 알 수 있다.
Ek,x=2kT
즉, 입자의 자유도 1개 당 평균 에너지는 21kT 이다.